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지식

시간외매매란? [뜻, 사는법 후기, 주가영향 총정리]

by 둔산동포크레인 2023. 9. 18.
반응형

시간외매매란?

 

주식의 정규 시장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30분까지입니다. 그렇다고 이 시간에만 주식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인가요? 꼭 그런것만은 아닙니다. 바로 주식 장전 장후 시간외 거래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간외 거래의 가장 큰 목적은 정규시간 전후 발생하는 이슈에 가장 적절한 대응을 통해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특정 종목에 악재가 발생한다면 다음날 주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그러면 특정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나 매수를 노리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 어떤 전략을 가져가야할 지 미리 준비를 해야합니다. 

준비가 없이 정규시간으로 바로 진입을 해버린다면 갑작스런 주가 변동으로 시장이 혼란에 빠질 수 있고 여차하면 개인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종의 안전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그럼 어떤 시간때에 거래를 할 수 있을까요?정규시간을 제외하고 크게 4타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장전 시간 외 종가 (07:30~08:30)

 - 전일 종가 기준으로 1시간 동안 거래가 진행됩니다. 전날 아쉽게 놓친 종목이 있다면 거래를 고려해면 좋습니다.

■ 장 시작 동시호가 (08:00~09:00)

 - 장 전에 1시간동안 미리 주문을 할 수 있습니다. 동시 호가 주문은 9시에 장이 시작되면 일괄 처리가 됩니다. 장 시작

   동시호가를 기준으로 시초가가 형성되구요, 동시호가를 보면 그날 종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가끔

   세력들 이 동시호가를 통해 장난질을 치기도 합니다.

■ 장 마감 동시호가 (15:20~15:30)

 - 장 종료 10분전부터 동시호가가 형성되죠? 10분동안 받은 주문은 3시 30분에 일괄적으로 처리가 됩니다. 그리고 장

   마감 동시호가를 기준으로 종가가 결정되죠. 종가가 오르락내리락 하는 경우,  동시호가 거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장후 시간 외 종가 (15:40~16:00)

 - 단일 종가를 기준으로 거래가 진행됩니다. 정규 시간 아깝게 놓친 종목이 있다면, 거래를 진행하면 됩니다.

■ 시간 외 거래 (16:00~18:00)

 - 10분 단위로 단일가가 정해지고, 총 12회 매매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당일 종가 대비 ±10%까지만 거래가 가능하죠.

   이러한 시간 외 단일가는 다음날 기준가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시간외매매 사는법

키움증권을 예시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사는법에 대해서 알려드리죠. 삼성증권 장외거래도 마찬가지 방식이죠.

우선 장외시간에 어플에 접속합니다. 

매수할 종목을 택한다음 ①주문, ②보통(지정가)를 누른다.

그러면 아래 쭉 스크롤이 나오는데 여기서 원하는 시간을 택한 후 주식을 거래한다. 특정 시간에 가능한 선택지가 있으니 이를 잘 파악하고 거래하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