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지식

액면분할이란? [뜻, 사례, 주가 영향 총정리]

by 둔산동포크레인 2023. 10. 25.
반응형

액면분할 이란?

 

액면 분할이란 무엇을 뜻할가요? 주식을 나누는 겁니다.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A라는 기업이 자사 주식을 2:1로 분할을 한다고 칩시다. 그럼 A라는 기업의 주식을 10주 가지고 있던 철수라는 주주는 A기업에게 이 10주를 반환하고 20주로 돌려받게 되죠. 이때 돌려받는 주식의 가격이 조금 달라지게 됩니다. 만약 원래 A기업 주식이 한 주에 10,000원이었다면 2:1로 액면 분할을 하게 된다면 한 주에 5,000원이 되는 셈이죠. 이말은 새로 발행되는 주식은 원래의 가격의 비율대로 나눈 금액으로 발행하는 것입니다.

 

즉, A기업의 10,000원 짜리 주식을 한 주 보유하고 있던 철수는 5,000원 짜리 두 주를 보유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 과정에서 한가지 명심할 점은 주식은 액면가로 거래 되는 것이 아니라 시가로 거래 되게 됩니다. 액면 가격을 바꾸는 것은 회사가 새로 바꿀 수 있지만 시가는 회사가 조정 할 수 없죠? 시가는 한국거래소에서 주식이 거래되는 시점의 분할 비율에 따라 증권 시장 최초 가격을 선정하게 됩니다. 분할 전 시가가 30,000원이었고 5:1로 분할 한다면 한국거래소에서 6,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하도록 지정해주는 거죠.

 

그렇다면 이러한 번거롭게 느껴질 만한 액면 분할은 왜 하는 것일까요? 크게 2가지 설명 드릴게요.

 

1.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라는 주식이 8만원이라고 칩시다. 우리나라 주식은 최소 한 주 부터 살 수가 있죠? 그 말은 즉슨, 삼성전자를 사라면 최소 8만원이라는 돈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철수라는 사람이 4만원 밖에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삼성전자 주식을 살 수가 없죠. 하지만 액면 분할을 통해 8만원짜리 한 주를 4만원짜리 두 주로 분할하게 된다면? 네 맞습니다. 철수같은 사람들도 삼성전자 주식을 살 수 있게 되고 삼성전자 주식의 유동성을 높아지게 되는 것이죠.

반응형

2. 주당 순이익을 낮추기 위해서 입니다.

주당 순이익이 높은 기업들은 여기저기 눈치를 봐야합니다. 돈 많은 사람들 주변엔 항상 노리는 사람들이 많듯이요. 다시 삼성전자라는 회사의 주당 순이익이 2만원이라고 칩시다. 그런데 액면 분할을 해서 만원으로 낮추게 되면 여기저기 눈치를 볼 필요가 조금 줄어들게 됩니다. 눈치를 볼 필요가 줄어드는 것이죠.

 


액면분할 사례

 

출처 - 중앙선데이 황건강 기자

위의 사진은 2022년 1분기에 분할을 한 회사들 입니다. 주로 5:1, 10:1의 비율로 액면 분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주식 시장에 액면분할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중견기업, 대기업 등 회사 규모를 가리지 않고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에 좋으 결과를 가져다줄 수도 아닌 경우도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미국의 구글, 아마존, 테슬라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주기적으로 액면 분할을 하는 추세기도 합니다. 구글(알파벳)의 경우 워낙 가격대가 비싸다보니 20:1로 액면 분할을 진행 했었네요.

 


액면분할 주가 영향

 

우선 결과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모릅니다. 무조건 오르지도 않고 무조건 떨어지지도 않습니다. 몇가지 사례를 볼게요

 

삼성전자는 2018년 50:1의 액면분할을 진행하였습니다. 한 주에 265만원이었던 주식이 5만 1천원 대로 변경되었죠. 역시나 위에서 말씀드린거와 같이 거래량은 전보다 60배 이상 상승하였고 주식의 유동성은 좋아졌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얼마 안가서 하락세를 겪게되었고 거래 시작 한달만에 4만 7천원 대로 떨어지게 되죠.

출처 - 시사오늘 시사ON 정우교 기자

SK 텔레콤이라는 회사의 경우 2000년에 한 주에 290만원의 가격을 자랑했으나 30만원 선으로 액면 분할을 실시하였죠. 이후 거래량은 기대한대로 6배 가량 증가했습니다. 또한 이번 사례는 주가가 떨어지지 않고 한달 쯤 되었을때 약 20%대 상승을 보이기도 했죠. 

 

이와 같이 주가가 오를수도 내릴 수도 있는 것입니다. 액면분할 그 자체로 기업의 가치라든지, 기술력이라든지, 잠재적 무언가를 변화시키진 않습니다. 수익성이 좋아진다거나, 제품이 좋아지지도 않기에 원칙적으로는 주가에 영향이 없어야 하는것이죠. 하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주가의 변동은 분명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기대감 때문이죠.

반응형